April 15, 2025
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를 보고 이해한 내용을 작성하였다. 컴퓨터 네트워크 시작하기 먼저 네트워크란 무엇이고,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다. : 여러개의 장치(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등)가 마치 그물처럼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 :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장치 뿐만 아니라 지구 반대편에 있는 장치…
April 21, 2025
이더넷 알아보기 이더넷은 현대 유선 LAN 환경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로,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들과 송수신 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 받는 방법 등이 정의된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전 글의 내용 중 네트워크 참조 모델의 과 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이더넷 표준 앞선 내용과 같이 이더넷은 "유선 LAN 환경에서 대중적으로 사…
April 24, 2025
NIC란?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는 호스트와 통신 메체를 연결하고, MAC 주소가 부여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통신 매체에는 다양한 신호(전기, 빛)가 흐를 수 있어 해당 신호를 호스트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호스트와 유무선 통신 매체를 연결하고 이러한 변환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
April 25, 2025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비에는 허브와 스위치 등이 있다. 허브는 물리 계층을 대표하는 장비이고,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을 대표하는 장비이다. 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의 차이점중 하나는 물리 계층에는 주소 개념이 없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는 있다는 것이다. 물리 계층에서는 단지 호스트와 통신 매체 간의 연결과 통신 …
April 28, 2025
스위치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이다. 2계층에서 사용한다 하여 L2 스위치 라고도 부른다. 스위치는 여러 포트에 여러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허브와 유사한 점이 있지만, 허브와 달리 MAC 주소를 학습해 특정 MAC 주소를 가진 호스트에만 프레임을 전달할 수 있고 전이중 모드의 통신을 지원한다. 이로 인해 허브보다 성능에 이점…
April 30, 2025
데이터 링크 계층의 한계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만으로는 LAN을 넘어선 통신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1.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만으로는 다른 네트워크까지의 도달 경로를 파악하기 어렵다. 호스트가 패킷을 송신할 때, LAN에 속한 호스트에게만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패킷은 서로에게 도달하기 위해서 수많은 네트워크 장비들을 거치고 다양한 …
May 01, 2025
IP 주소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주소이다. 하나의 IP 주소는 크게 네크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이루어져 있다.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는 네트워크 ID, 네트워크 식별자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호스트 주소는 호스트 ID, 호스트 식별자등으로 부른다.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의 범위는 유동적일 수 있다. 이런 유…
May 05, 2025
라우팅은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한 뒤 해당 경로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것 이다. 라우팅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로는 라우터나 L3 스위치가 있다. 라우팅에 관한 내용은 방대하기 때문에 아래 표와 같은 흐름으로 작성할 예정이다. 라우터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기능을 담당한다. 앞선 포스트에서의 NAT이나 DHCP 같은 여러 기능을 감소있는 네…
May 08, 2025
네트워크 계층의 IP는 신뢰할 수 없는 통신과 비 연결형 통신을 수행한다는 한계가 있다. 전송 계층은 신뢰할 수 있는 통신과 연결형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IP의 한계를 극복하고, 포트 번호를 통헤 응용 계층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들을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뢰할 수 없는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 신뢰할 수 없는 통신은 IP 프로토콜이 패킷이 수신지까지 …